무슨 플랫폼이 있나 찾아보기
개발 블로그를 시작해야지 하고 여러 블로그들을 돌아다니며 정보를 얻었다.
대부분 개발자 분들은 github, velog, 티스토리를 많이 쓰는 것 같았다. 나머진 마이너하거나 내 취향이 아니라 패스
각각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았다.
github
장점이자 단점
높은 자유도: HTML/CSS/JavaScript 지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구현해야 한다.
단점
수익화 어려움: 수익화를 직접 구현해야 한다.
불편한 이미지 업로드: 이미지를 레포지토리에 업로드 후 가져오거나 경로를 업로드해야 한다.
깃허브 페이지는 애초에 생각하고 있던 플랫폼이 아니었기에 설명이 적다.
그 외의 장점으로 정적 사이트 생성기 (Jekyll 등) 를 지원한다거나 Git을 통한 버전 관리가 있는데 크게 와닿는 장점이 아니었다.
velog
장점
간편한 사용: Markdown 기반으로 글 작성이 쉬워 초보자도 사용하기 좋다.
개발자 친화적: 개발 관련 글을 쓰기에 최적화되어 있다.
단점
커스터마이징 제한: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제한으로 글이 다들 비슷해 보인다.(내 생각이다)
부실한 통계 기능: 통계 기능이 부실하다. 유입 경로 제공 x
수익화 어려움: 플랫폼 자체적으로 수익화를 지원하지 않는다.
티스토리
장점
편리한 관리: 블로그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. 티스토리로 정하고 써보니까 편한 것 같다.
디자인 커스터미이징: 스킨과 플러그인을 통해 맞춤 설정 가능하다.
수익화 가능: 수익화도 쉽게 지원한다.
단점
초기 설정: 스킨을 적용해도 초기에 설정할 게 많은 것 같다.
마크다운 에디터: 마크다운 에디터가 있기는 한데 별도의 에디터로 구분되어 있고,
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.*
* 미리보기가 없는 줄 알았는데 왼쪽 아래에 있었다. 에디터 전환 시 자꾸 기본 서식으로 돌아가는데 이거 불편하다.
결론
티스토리를 통해 개발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.
가장 큰 이유는 통계 기능이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. 유입 경로 및 상세 통계를 알 수 있으면 사람들이 더 많이 찾는 블로그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.
블로그를 시작하는 김에 스킨도 적용했다. 정상우 개발자님의 hELLO라는 스킨인데 왼쪽 사이드바 스킨을 찾다가 발견했다. 커스터마이징은 추후에 하는 것으로 하고 프로젝트에 관한 포스팅을 올릴 예정이다.